본문 바로가기

리치텔러

🎯 [투자 아이디어] 마틴게일과 켈리 전략, 섞는 두 가지 방법

반응형

투자 전략 중 가장 유명한 두 가지가 있습니다.
바로 마틴게일켈리 전략입니다.

  • 마틴게일은 질 때마다 더 크게 베팅해서 결국 이기는 전략
  • 켈리 전략은 확률과 수익률로 '얼마나 투자할지' 계산하는 전략

이 둘을 섞어서 사용하면 어떨까요?
사실 섞는 방법에는 두 가지 방향이 있어요.
지금부터 아주 쉽게 설명드릴게요.


1️⃣ 첫 번째 방식: 마틴게일에 켈리를 섞는 방법

✔️ 무슨 뜻인가요?

원래 마틴게일은 질 때마다 배팅 금액을 두 배로 늘립니다.
하지만 이 방식은 자산이 무한해야 가능하죠. 현실에서는 파산 위험이 큽니다.

👉 그래서 ‘얼마까지 베팅할 수 있는지’를 켈리 공식으로 계산해서 한계를 두는 것입니다.

📌 예를 들어 볼게요

  • 내가 가진 자산: 100만 원
  • 켈리 공식으로 계산한 적정 투자 비중: 20% (즉, 20만 원까지만 베팅 가능)

💡 마틴게일을 이렇게 나눠서 쓰는 거예요:

  • 1단계: 5만 원
  • 2단계: 10만 원
  • 3단계: 5만 원
    → 총 20만 원까지만 쓰고, 그 이상은 안 함!

✅ 장점

  • 마틴게일의 빠른 복구 효과는 유지
  • 켈리로 리스크를 제한 → 파산 방지!

2️⃣ 두 번째 방식: 켈리에 마틴게일을 섞는 방법

✔️ 무슨 뜻인가요?

이번엔 반대로, 켈리가 먼저입니다.
켈리 전략은 "당신의 승률과 수익률에 따라 이만큼 투자하세요"라고 알려주죠.
예를 들어, "자산의 20%를 투자해라"고 말한다면...

👉 그 20%를 한 번에 쓰지 않고, 마틴게일 방식으로 나눠서 점진적으로 들어가는 거예요.

📌 예를 들어 볼게요

  • 1단계: 5만 원
  • 손실 나면 2단계: 7.5만 원
  • 또 손실 나면 3단계: 7.5만 원
    → 총 20만 원 = 켈리 공식이 계산해준 최대 투자 금액

✅ 장점

  • 한 번에 다 투자하지 않아서 리스크가 작음
  • 수익 날 가능성이 높아졌을 때 더 크게 들어가게 됨

🔍 두 방식, 이렇게 다릅니다

구분 마틴게일에 켈리 섞기 켈리에 마틴게일 섞기 
시작점 마틴게일 구조 켈리 계산
투자 방식 지면서 베팅 늘리기, 총액 제한 총액을 미리 계산, 나눠서 진입
리스크 빠르게 커짐 → 제한 필요 작게 시작 → 천천히 증가
추천 스타일 단기 트레이딩 중장기 분할 진입

🧠 투자 아이디어 요약

마틴게일과 켈리 전략을 잘 섞으면
리스크는 줄이고, 수익 회복 속도는 빠르게 만들 수 있어요.

💡 중요한 건 자기 전략에 맞게 섞는 방식을 고르는 것!

  • 단기 트레이더라면 👉 마틴게일에 켈리 섞기
  • 장기 분할 매수라면 👉 켈리에 마틴게일 섞기

🔗 더 읽어보기


📢 결론: 전략보다 중요한 건 실행 방식입니다

투자는 이론보다
어떻게 실행하느냐”가 더 중요해요.

마틴게일과 켈리를 섞을 때도,
내 스타일에 맞게 접근해야 진짜 전략이 됩니다.

 

반응형